해당 사례는 전형적인 중고 물품 매입 사기 수법으로 보입니다.
사기일 가능성이 높은 이유
점검 후 가격 하향 조정: 처음에는 고가 매입을 약속한 후, 물건을 받은 뒤에는 '메인보드 불량', '발열', '화면 점' 등 눈에 보이지 않는 하자를 언급하며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추는 수법은 흔한 사기 유형입니다.
과도한 검수 비용: 일반적으로 중고 물품 검수 비용이 7만 원씩 들지는 않습니다. 게다가 반송을 요구하자 갑자기 검수 비용을 청구하고, 입금을 강요하는 행위는 거래의 합리성을 벗어난 행동입니다.
반송 불가 및 압박: "지금 결정해야 순차적으로 진행된다"는 식으로 즉각적인 결정을 재촉하는 것은 상대방의 판단을 흐리게 하여 낮은 금액에 물건을 팔도록 유도하는 전형적인 수법입니다.
신고 가능한가요?
네, 사기로 의심되는 상황이므로 경찰에 신고가 가능합니다. 번개장터 프로상점이라 할지라도 개인 간 거래에서 발생하는 사기 행위는 법적 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신고 방법
증거 자료 수집: 상대방과 주고받은 모든 대화 내역(카톡, 문자), 입금 내역, 번개장터 프로상점 정보, 거래 상품 게시글 캡처 등 모든 증거 자료를 확보하세요.
사이버수사국 신고: 경찰청 사이버안전지킴이(ECRM)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신고 접수를 하거나, 가까운 경찰서 민원실에 방문하여 신고할 수 있습니다.
번개장터 고객센터 문의: 번개장터 고객센터에도 해당 사실을 알려 다른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를 요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6천 원에 판매하기로 결정하셨다 해도, 상대방이 검수 비용 7만 원을 먼저 요구하는 것은 명백히 부당한 요구이므로 돈을 입금하지 마시고 즉시 경찰에 신고하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